Yoo Jaewoong

Emptied Day

Nov 23 - Dec 3, 2024


About

Gallery Dam presents a solo exhibition by Jaewoong Yoo under the theme "Emptied Day." The method of dotting slip onto bisque-fired clay plates remains consistent with the artist's previous approach. However, this exhibition additionally presents a new technique where dots are applied and then overlaid with gold.

The artist creates dots with clay to build up negative space. Empty areas are composed by loading momentary emotions into restrained dots or lines. Conceptually, the process of erasing the boundaries of perception through repetitive actions is visually conveyed through ceramic plates and sculptural forms.


갤러리담에서는 유재웅의 비워진 하루라는 주제로 개인전이 열린다. 초벌된 흙판 위에 화장토를 점을 찍어나가는 방식은 기존의 작가가 보여주는 방식과는 같다. 하지만 이번 전시에서는 점을 찍었다가 다시 금으로 지어나가는 방식도 추가적으로 보여준다.

흙으로 점을 찍어 여백을 쌓아 올린다. 빈 곳은 순간의 감정을 절제된 점이나 선에 실어서 구성한다. 개념적으로는 반복 행위로 인식의 경계를 지워내는 과정을 도자기로 된 판과 조형을 통해 시각적으로 전달한다.


Artist Statement

Daily life begins with choices. When the alarm rings, we choose to keep our eyes closed a little longer or get up right away to have some leisure time. During the day, we contemplate what menu to choose. Korean or Western food, rice or noodles, whether soup should be the main element or not. Though we live by borrowing and eating, these are nonetheless momentous decisions. In the evening, we sometimes choose a movie. Among countless videos, we hesitate for various reasons. We become dazed and overwhelmed. As the number of choices increases, the weight of pressure regarding outcomes quietly accumulates.

My work involves repeatedly applying the same dots to fill ceramic plates or three-dimensional forms. The process of making dots and placing the next dot beside it takes a long time, but having the next action predetermined removes the burden of choice. As the dots I've made become the background, I become empty and lighter. The surroundings shift from phenomena to traces. When I eventually fill the entire surface with dots, selfishness and artifice are somewhat diminished. If the previous repetitive dot-making was a subtractive process of emptying, what follows is an additive process. I place my now-quieted inner self upon the repeated marks.

If until now the variety of things we could choose to eat, wear, see, or read had been added layer by layer, now it feels as if another axis has been added, multiplying dimension by dimension. As information doubles, unnecessary attention also increases. Rather than accumulating more, it seemed I needed to shake off what I already had in order to move forward. Richard Sennett said that because self-critical ability develops through repetitive processes, a stage of self-realization arrives when repeating a single action. I hope to turn away from days that seem overwhelming with choices and face the tranquil self that emerges by following the dots.


일상은 선택으로 시작한다. 알람이 울리면 좀 더 눈을 감고 있거나 바로 일어나서 여유를 가지거나. 낮에는 어떤 메뉴를 정할지 고민한다. 한식과 양식, 밥과 면, 국물이 주가 되느냐 아니냐. 빌어서 먹고 살아가고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대사이다. 저녁엔 가끔 영화를 고른다. 수 많은 영상에서 여러 가지 이유를 가지고 망설인다. 밀쳐져 멍해진다. 선택할 수 있는 가짓수가 많아질수록 결과에 대한 압박에 조용히 무게가 실린다.


작업은 도판이나 입체에 같은 점을 반복하여 찍어서 채운다. 점을 찍고 그 옆에 다음 점을 찍는 작업은 오랜 시간이 걸리지만, 다음 행위가 정해진 상태는 선택에 대한 부담을 지운다. 찍은 점들이 배경이 되어 갈수록, 나는 빈 것이 되어 가벼워진다. 주변은 현상에서 흔적으로 넘어간다. 이내 점으로 면을 모두 채우면 사심과 인위가 조금은 덜어진다. 이전의 점을 찍는 반복이 비워내는 빼기의 작업이라면 이후는 더하기의 작업이다. 되풀이된 자국 위에 자못 고요해진 내면을 얹는다.


여태껏 어떤 것을 먹고 입든지 무엇을 보고 읽든지 선택할 수 있는 종류들이 한 겹 한 겹 더해졌다면, 이제는 한 축이 더해져 한 차원 한 차원 곱해지는 느낌이다. 정보가 곱절로 늘어나니 필요 이상의 관심도 늘어난다. 무엇을 쌓기보다는 있는 것을 털어내야 나아갈 수 있을 것 같았다. 리처드 세넷은 반복 과정에서 자기비판 능력이 생기기 때문에 한가지 행동을 되풀이할 때 스스로 깨닫는 단계가 찾아온다고 했다. 선택에 매몰될 것 같은 하루를 등지고 점들을 따라 잔잔해진 자신을 마주하길 바란다.

Selected Works